메인메뉴로 바로가기 서브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go


자유게시판

NOLJA

전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제목
[ 놀자 ] 국내 최초 대출중개플랫폼 1위
작성자 작성일
25-08-05 01:46
조회
12 회
댓글
0 건
자유게시판

한국은행이 16일 기준금리를 1.50%에서 1.25%로 0.25%포인트 내리자 시중은행들이 서둘러 예금금리 인하를 준비 중이다. 은행들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전부터 예금금리를 낮춰온 만큼 이번에 추가 인하를 하는 셈이다. 반면 대출금리 인하는 예금금리보다 늦게 조금씩 낮추기 때문에 기준금리 변동 때마다 시차에 따른 이자마진을 챙기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소비자들이 낮은 예금 이자에 허덕이는 동안 은행들은 올 상반기에만 20조 원의 이자수익을 챙겼다.

○ 예금금리는 빨리 낮추면서, 대출금리는 찔끔

한은이 7월 금리를 낮추기 전인 올 상반기부터 국내 은행들의 예금금리는 이미 슬금슬금 낮아지고 있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은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치자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1∼0.2%포인트씩 낮춘 것이다.

은행들은 “당시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해 대출금리가 떨어져 예금금리도 선제적으로 낮출 수밖에 없었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런 해명과 달리 예금금리를 대출금리와 비교해보면 더 빨리, 더 많이 내렸음을 알 수 있다. 한은에 따르면 시중은행 가계대출 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말 3.61%에서 올해 5월 3.49%로 0.12%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간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2.17%에서 1.97%로 0.20%포인트 하락했다. 은행의 평균 대출금리와 저축성수신금리의 차이를 뜻하는 ‘예대금리차’(신규취급액 기준)도 금리가 하락세로 돌아서기 전인 지난해 12월 1.67%포인트에서 1.76%포인트로 0.09%포인트 더 벌어졌다. 금리 조정기에 은행들이 더 많은 이자수익을 챙겨갔다는 얘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이자수익은 2015년 33조5000억 원에서 2018년 40조5000억 원으로 늘었다.

예금금리는 재빨리 많이 내리면서 대출금리는 서서히 조금만 낮추는 ‘얌체 영업’은 올해만의 일이 아니다. 한은의 예금은행 금리 통계에 따르면 2014년 1월∼2016년 1월 기준금리가 2.5%에서 1.5%로 1%포인트 하락하는 동안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2.76%에서 1.72%로 1.04%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가계대출 금리는 4.15%에서 3.28%로 0.87%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 1% 안팎 초저금리 예금 현실화

이런 지적에 대해 은행들은 금리 결정 메커니즘이 유형별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반박한다. 예금금리는 각 은행이 기준금리와 채권금리, 경쟁은행 금리, 당해연도 경영전략 등 다양한 변수를 모두 고려해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반면 대출금리는 금융채나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 시장금리에 거의 기계적으로 연동된다. 그런데 금융채 등 시장금리가 꼭 기준금리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데다 코픽스도 한 달에 한 번만 공시되기 때문에 기준금리와 시차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대출금리 대신에 자의적으로 손댈 여지가 큰 예금금리를 활용해 이자장사를 한다고 지적한다. 금융소비자연맹 강형구 금융국장은 “예금금리가 어떻게 산정됐는지 공개해 소비자가 수긍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했다.

당장 시중은행들은 16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예금금리 인하를 검토 중이다. 현재 신한, 우리, KEB하나은행은 각각 연 1.27%, 국민은행 1.23%의 이자(세후)를 제공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가 반영되면 가뜩이나 낮은 예금금리는 1% 안팎으로 주저앉게 될 공산이 크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 주부터 은행들이 속속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금금리는 빠르게 내리고, 대출금리는 왜 안 내릴까?

은행 금리 정책의 현황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발생 이유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은행의 수익 구조 분석 앞으로의 전망과 대응 방안 최근 금리 인하 기조 속에서도 예금금리는 빠르게 하락하는 반면,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예금자들과 대출 이용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예금금리를 신속하게 조정하지만, 대출금리는 다양한 이유를 들어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은행들의 수익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금자들은 낮은 금리로 인해 수익이 크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반면, 대출 이용자들은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을 지고 있어 경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은행들은 대출금리를 내리지 않는 이유로 위험 프리미엄과 운영 비용을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주장이 과도한 수익 추구로 보인다고 지적합니다.
앞으로의 전망을 보면, 중앙은행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의 금리 정책도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금리 상품을 비교하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키워드: 예금금리, 대출금리, 금리 인하, 은행 수익, 금리 정책



농협은행, 전세자금대출 독주…매월 1조 증가
11월 은행 주택대출금리 2.45%, 역대최저…"일시적 현상"
의류 등 재고자산으로 대출…혁신금융 3건 추가 시험
증권·대출계좌도 개방…'오픈금융' 시대 열린다
전체 대출자 5명중 1명 다중채무자
‘주담대’ 줄이자 신용대출 한 달 새 3조 늘어
"대출 막혀 잔금 구하려고 대리운전"…6·17 규제에 시민들 뿔났다






m3bj9
자유게시판
관련링크
첨부파일
추천 0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TUMBLR로 보내기
  • Naver Blog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go